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덤프버전 : (♥ 0)


🌐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 펼치기 · 접기 ]

형식과학
ta-hash-start=w-1f2013e3dcfa352ca993cc25cc334c10[[파일:IMO.pngta-hash-start=w-171e667bc748e9fa6eceb9695cf79762[[파일:IOI.png
수학정보과학
자연과학
ta-hash-start=w-002f24d5ec532235bcb2dce9058b5f37[[파일:IPHO.jpgta-hash-start=w-de45e063b937f049ffefc9302cded220[[파일:IChO.jpgta-hash-start=w-e36dfba5e7cc3a42ee845634093caaa1[[파일:IYPT.pngta-hash-start=w-e738b4d04031644befba56644380e13c[[파일:IBO.svg
물리학화학물리 토론(1)생물학
ta-hash-start=w-884c4ee37b41108cd277f475cf775b4a[[파일:IAO.gifta-hash-start=w-11eee5a972a890e44dc5f1d8129db9ed[[파일:IJSO.pngta-hash-start=w-5730737405ac64afe17e4cc691ba62a4[[파일:IESO.pngta-hash-start=w-ca936d70b26ac2f9c68a65575d7fa7eb[[파일:IOAA.jpg
천문학중등과학지구과학천체물리학
사회과학
ta-hash-start=w-f62296b9393b6ab9229ebde91ed8469f[[파일:IGEOLOGO.jpgta-hash-start=w-b426b30042abbc15e363cb679bbc937d[[파일:IEO.png
지리학경제학
인문학
ta-hash-start=w-46b8a0e73f80ac66c8fb8ec871748e4f[[파일:IPhilO.pngta-hash-start=w-d457c0235036396f11714cb337bc0445[[파일:IOL_logo_wordless.pngta-hash-start=w-a3fb3740778d53b2d89b66c70066151b[[파일:IHO.jpg
철학언어학(2)역사학(3)
(1)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에 초청 받으므로 포함
(2) 사회과학이나 형식과학에도 속함
(3)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해당 분야에서 유일하게 올림피아드 이름을 달고 운영되는 세계 대회이므로 포함

아시아-태평양 올림피아드 목록 / 국내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國際地球科學올림피아드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IESO)
파일:IESO.png
운영IESO 조직위원회(IESO Coordinating Committee)[1]
설립2007년
분야지구과학 (지질학, 지구물리학, 해양학, 대기과학, 천문학)
대상개최연도에서 19를 뺀 연도 7월 1일 이전 출생한 중고등학생 중 이전 IESO 참가 경험이 없는 자[2]
일시매년 8~10월
예선 대회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KESO)
미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USESO)
호주 지구과학 및 환경과학 올림피아드(AEESO)
IESO 인도 예선
관련 대회국제천문올림피아드(IAO)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IOAA)
국제지리올림피아드(iGeO)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 KESO 설립
2.2. IESO의 필요성 제기
2.3. IESO 조직
2.4. 제1회 IESO 개최
3. 참가국
4. 국가대표 선발
4.1. 대한민국
4.2. 미국
4.3. 호주
4.4. 인도
5. 진행
6. 역대 대회
6.1. 대한민국 참가 기록
7. 관련 도서 및 기출문제
8. 여담
9.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프랑스 코트다쥐르에서 열린 2017년 제11회 IESO
전세계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열리는 지구과학 분야 경시대회.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중 하나로, 세계지구과학교육학회(International Geoscience Education Organization, IGEO) 산하 단체인 IESO 조직위원회(IESO Coordinating Committee)가 주관한다. 대한민국 주도로 시작된 대회라서인지 현 조직위원장이 조선대학교 박영신 교수이며, 초대 조직위원장도 충남대학교 송무영 교수였다. 출제 범위 또한 (일본에게 영향을 받아 형성된) 대한민국 특유의 지질학, 해양학, 대기과학, 천문학을 아우르는 고등학교 지구과학(교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다.[3] 2019년 기준 41개국 43개팀 179명이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2007년 제1회 대회와 2019년 제13회 대회를 대구광역시 EXCO에서 개최했으며, 지금까지 13번의 대회 중 1위는 6번, 2위는 3번, 3위는 1번 기록했다.


2. 역사[편집]


냉전 전후 공산권에서 시작된 대부분의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와 달리 지구과학올림피아드는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었다. 2003년 제1회 대회가 열린 KESO의 영향을 받아 세계구급 지구과학 대회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서 2007년 제1회 IESO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EXCO에서 열리게 된 것이다.

아래는 모두 KESO 웹사이트의 국내올림피아드 역대대회 게시판과 IESO 웹사이트의 역사 페이지에서 퍼온 내용을 약간 편집한 것이다.


2.1. KESO 설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1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IESO의 필요성 제기[편집]


2003년 8월 10일부터 14일까지 캐나다 앨버타캘거리 시에서 세계지구과학교육학회(International Geoscience Education Organization, IGEO)가 개최되었다. 이 학회는 그동안 한국지구과학회에서 국제 대표로 열심히 참여해 온 김찬종 교수(서울대)가 운영위원으로 적극적인 활동하고 있는 국제기구로, 2003년에는 주제를 "국제사회를 위한 지구과학(Earth Science for the Global Community)"라 정하였다. 본 대회는 10일부터 14일까지이지만, 본회의 사전과 사후에 각종 견학코스, 워크숍 등이 개최되었고, 국내 학자들 대부분은 8일에 있었던 "세계 꼭대기에서(On top of the World)"라는 주제의 로키 산맥 지질답사에 참여하였다. 답사 도중에 참여자 서로의 자기소개 시간에 한국에서 참여한 4명의 학자들은 각자의 소개는 물론, 한국지구과학회의 활동과 특히 KESO를 완료했다는 사실과 더불어 세계지구과학올림피아드의 필요성을 제안하여 많은 참여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정기총회에서는 새 회장단의 선출이 있었는데, 미국 캔자스 대학교 교수인 Ian Clark 박사가 회장에 뽑혔고, 우리 학회의 국제대표인 김찬종 교수가 부회장에 당선되었다. 또한, 국제지구과학교육학회의 업무 추진 사항 중,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의 준비위원회가 조직되게 되었으며, 그 소위원회는 김찬종 교수가 책임지게 되었다. 이미 주요 임원들이 위촉되어 가고 있는 듯하다. 한편 IGEO를 지원하고 있는 유네스코 산하의 IUGS 대표자는 2005년부터 3년 간 유네스코가 정하는 “지구의 해” 이므로 이와 연계하여 세계지구과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2.3. IESO 조직[편집]


2004년 8월 이탈리아 토스카나피렌체 시에서 열린 제32회 국제지질학회의(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 IGC)에서는 국제 지구의 해(International Year of Planet Earth)의 Eduardo de Mulder와 Ted Nield가 IESO 지원을 약속했다.

2004년 11월 서울특별시에서 IESO 회의가 열렸다. 10개국 대표단이 모여서 지구과학 교육과정과 시험 형식을 논의했다. 송무영 위원장을 비롯한 11명의 IESO 조직위원회(IESO Coordinating Committee) 위원이 선출됐으며, 훗날 IESO 자문위원회(IESO Advisory Committee)로 개칭됐다. IESO 운영규정도 확정됐다. 이 때 열린 IESO 조직위원회의 첫 회의에서 대한민국이 제1회 IESO를 개최하기에 가장 적절한 환경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2005년 IESO 교수요목 위원단(IESO Syllabus Comission)과 IESO 교수요목 초안이 작성됐고, 2006년 3월에는 IESO 로고가 확정됐다.


2.4. 제1회 IESO 개최[편집]


2007년 대구광역시 EXCO에서 "생명을 위한 지구, 미래 생명을 위한 우주(Earth for Life, Universe for Future Life)"라는 주제로 제1회 IESO가 개최되었다. 대만이 3개 금상, 1개 은상으로 1위, 대한민국이 1개 금상, 3개 은상으로 2위, 미국이 2개 은상, 2개 동상으로 3위, 인도가 2개 은상으로 4위를 기록했다.


3. 참가국[편집]


출처는 IESO 웹사이트.
국가명예선 대회
ta-hash-start=w-1cf57c085017399f948a428adf64e2fa[[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ta-hash-start=w-4620c9d53386898042bd6445ec0a3efd[[파일:호주 국기.svg 호주AEESO
ta-hash-start=w-ede3c50dea25ba965ec7192eb15f2f70[[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ta-hash-start=w-54a4b35100ec2b19295733081de0fcce[[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ta-hash-start=w-069ed006378fe24f08edc228de7270d4[[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NEO
ta-hash-start=w-dcb388ff8ffd71d034c5be968bb13ef9[[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OBAP
ta-hash-start=w-b757aa8b4d5f403e9c6c0a50a8cef71f[[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ta-hash-start=w-74870f8941b4ae5bc77a9740fad11286[[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ta-hash-start=w-1c4bdce565f985c93dda4fc4a5c80e19[[파일:체코 국기.svg 체코ZO
ta-hash-start=w-1e599c79cf57016dbbb270df25ce85b3[[파일:독일 국기.svg 독일DOG
ta-hash-start=w-077c7fb8fcf33cec814d0bde680aa041[[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ta-hash-start=w-184260348236f9554fe9375772ff966e[[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ta-hash-start=w-d1d35acfd20d413bbda1eae8e208f0b5[[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ta-hash-start=w-bc783b8d7776bd472c216a4672883f8b[[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ta-hash-start=w-aa92f6f6672f194117f62fb5babddf3f[[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ta-hash-start=w-02795920dd6e7b161729a3d9c1a5ed6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TOIKI
ta-hash-start=w-f69b857233949c6a79158d4bb7ab5061[[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ta-hash-start=w-c5aebfaf734e42bba2f42c95ff0caa8b[[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ta-hash-start=w-35dcd930df68a3b6194ad8764644721d[[파일:일본 국기.svg 일본JESO
ta-hash-start=w-8412f42034af852f237e3af8209f3a6f[[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ta-hash-start=w-c08b613fa7b3749702c177e7a01d07db[[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ta-hash-start=w-7a6a74cbe87bc60030a4bd041dd47b78[[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ta-hash-start=w-4cbb466a35d3bb7304ea43cd687929f0[[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ta-hash-start=w-9e6feccf63b72f7089146dce1c6e68de[[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MYESO
ta-hash-start=w-1ba3c09ea467bf589e0cc318e3abf3c9[[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ta-hash-start=w-dd24514845cb7751a24e84390daabe1b[[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ta-hash-start=w-7e0f9a6573f028cc71686cbca46df0bb[[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ta-hash-start=w-bb9caf96076d335da9c6d368c385dcd3[[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ta-hash-start=w-978f30ebe0d9a24bd763ba6201b2f7ba[[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ta-hash-start=w-b6b90237b3ebd1e462a5d11dbc5c4dae[[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ta-hash-start=w-87c5afc7c76c32349979d0029a9d1db3[[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KESO
ta-hash-start=w-684c02747b08547490f9fca80f2e5cf1[[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OEG
ta-hash-start=w-52350ebaa222986b059be81faaaf9ced[[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ta-hash-start=w-9f7bde258edd7872ffc21a9e4a4c3d0a[[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ta-hash-start=w-359513286e98511b129e2c6b20ce8580[[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ta-hash-start=w-dbd1fcf4aa44d05943ec97ee9d5b4dc3[[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ta-hash-start=w-aa58b7abc80251c222053fb5d3c87a06[[파일:미국 국기.svg 미국USESO


4. 국가대표 선발[편집]


참가 학생(즉 국가대표)은 각국의 국내 올림피아드로 선발한다.


4.1. 대한민국[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과학 올림피아드
[ 펼치기 · 접기 ]

형식과학 한국수학올림피아드 · ta-hash-start=w-70bdeed1b6197d33e75b5d01e6fdd47f[[파일:KOI.png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자연과학 한국물리올림피아드 · ta-hash-start=w-a5ce06eab3875b07f519198536925f3b[[파일:KChO.jpg 한국화학올림피아드 · ta-hash-start=w-5ff3fd94bc09fae5dab3de636b8f130c[[파일:KYPT.png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1) · ta-hash-start=w-9e5a74c46a6d5ef865e95744bf584bad[[파일:KBO.png 한국생물올림피아드 · ta-hash-start=w-b02c6bdb3693e65bd8e9b75df65fe2c4[[파일:KAO_logo.png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ta-hash-start=w-c4c38a34e7a5cabb2449a3a281c207bd[[파일:KJSO.png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 ta-hash-start=w-facb4be5385617bf11e6d67f0aa0203b[[파일:KESO_logo.png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사회과학 전국지리올림피아드 · ta-hash-start=w-ba829a6cb97f554ffb0272cd3d6c18a7[[파일:KEO.png 한국경제올림피아드
인문학 한국철학올림피아드(2) · ta-hash-start=w-37d796a19e448f1b719738deab7b57cb[[파일:KLO.png 한국언어학올림피아드(3)
(1)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 대표단도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에 초청 받으므로 포함
(2) 국제철학올림피아드 국내 예선과 주최는 같지만 별개의 대회임
(3) 사회과학이나 형식과학에도 속함

국제 올림피아드 목록 / 아시아-태평양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대한민국 국가대표는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Korea Earth Science Olympiad, KESO)를 통해 선발하며, 2007년 제1회 대회부터 참가했다. 1차 서류전형, 기초사이버교육, 2차 선발시험, 팀프로젝트교육, 심화사이버교육, 3차 선발시험, 야외지질답사, 응용교육과정을 거쳐 4명의 국가대표[4]를 선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창의재단을 통해 참가비를 지원해주며, 6월 말쯤 국립중앙과학관에서 하는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 국가대표단 발대식에도 초대받는다.

4.2. 미국[편집]


미국 국가대표는 미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United States Earth Science Olympiad, USESO)를 통해 선발한다. 4월쯤 1차 시험(National Open Exam)을 통해 40명을 선발해 버몬트 대학교(University of Vermont)에서 진행되는 1주일짜리 여름학교(USESO Training Camp)에 참가시킨다. 여름학교에서는 이론과 실습 수업을 하며, 캠프가 끝날 때 8명의 국가대표(4명의 정식 참가 학생 및 4명의 참관인)를 선발한다.


4.3. 호주[편집]


호주 국가대표는 호주 지구과학 및 환경과학 올림피아드(Australian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Olympiad, AEESO)를 통해 선발한다. 7월쯤 1차 시험(Australian Science Olympiads Exam -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을 통해 여름학교(Australian Science Olympiads Summer School) 참가생을 뽑는다. 여름학교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 국가대표가 된다.


4.4. 인도[편집]


인도 국가대표는 인도 지질학회(Geological Society of India)가 주관하는 IESO 인도 예선을 통해 선발한다. 1차 시험(National level Entrance test), 캠프 및 인도지구과학올림피아드(Indian 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국가대표 최종교육으로 구성된다.


5. 진행[편집]


KESO, IESO 진행 과정 소개


6. 역대 대회[편집]


파일:IESO.png 역대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회차개최년도일정개최국개최지참가국 수대한민국 순위수상 내역
1회2007-ta-hash-start=w-87c5afc7c76c32349979d0029a9d1db3[[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대구, 영월11개국2위금1, 은3
2회2008-ta-hash-start=w-bb9caf96076d335da9c6d368c385dcd3[[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마닐라7개국1위금2, 은2
3회2009-ta-hash-start=w-9f7bde258edd7872ffc21a9e4a4c3d0a[[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타이베이20개국2위금1, 은3
4회20109.19 ~ 9.28ta-hash-start=w-02795920dd6e7b161729a3d9c1a5ed6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욕야카르타19개국2위금2, 은2
5회20119.5. ~ 9.14.ta-hash-start=w-c5aebfaf734e42bba2f42c95ff0caa8b[[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모데나35개국공동 1위[대만]금3, 은1
6회201210.7 ~ 10.13ta-hash-start=w-1cf57c085017399f948a428adf64e2fa[[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5]올라바리아17개국공동 1위[대만]금3, 은1
7회20139.11 ~ 9.19ta-hash-start=w-aa92f6f6672f194117f62fb5babddf3f[[파일:인도 국기.svg 인도마이소르27개국공동 1위[대만]금3, 은1
8회20149.22 ~ 9.29ta-hash-start=w-684c02747b08547490f9fca80f2e5cf1[[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산탄데르25개국4위금1, 은3
9회20159.13 ~ 9.20ta-hash-start=w-dcb388ff8ffd71d034c5be968bb13ef9[[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포수스지카우다스25개국1위금2, 은2
10회20168.20 ~ 8.27ta-hash-start=w-35dcd930df68a3b6194ad8764644721d[[파일:일본 국기.svg 일본미에현26개국3위금2, 은2
11회20178.21 ~ 8.30ta-hash-start=w-d1d35acfd20d413bbda1eae8e208f0b5[[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코트다쥐르34개국8위은2, 동2
12회20188.8 ~ 8.17ta-hash-start=w-359513286e98511b129e2c6b20ce8580[[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깐짜나부리38개국5위금1, 은3
13회20198.26 ~ 9.3ta-hash-start=w-87c5afc7c76c32349979d0029a9d1db3[[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대구41개국공동 1위[일본]금4
14회2021[6]9.25 ~ 9.30ta-hash-start=w-b6b90237b3ebd1e462a5d11dbc5c4dae[[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온라인32개국4위금1, 은4, 동3
15회20228.25 ~ 8.31ta-hash-start=w-c5aebfaf734e42bba2f42c95ff0caa8b[[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온라인38개국6위금1, 은4, 동3
16회20238.20 ~ 8.26ta-hash-start=w-aa92f6f6672f194117f62fb5babddf3f[[파일:인도 국기.svg 인도온라인32개국9위은4[7]

6.1. 대한민국 참가 기록[편집]


참가16회
1위6회
2위3회
3위1회
최고 순위1위
최근 순위9위


7. 관련 도서 및 기출문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6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와 같으므로 해당 문서에 모아서 서술한다.


8. 여담[편집]


  • 일본 애니메이션사랑하는 소행성/애니메이션 8화에 IESO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해당 작품 등장인물인 이노세 마이는 IESO의 일본 예선인 일본지학올림픽(JESO)에 출전했다가 탈락한다.
  • 2022년 3월 21일 IESO 러시아 대표단 측은 러시아 연방의 끔찍한 침략전쟁에 의해 2022년 IESO에 참가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며 러시아 당국을 비판했다. #
  • 2023년 IESO의 DMT(Data Mining Test) 시험은 국가별 메달 수가 최대 4개로 제한[8]이 있었다. 앞선 두 대회에서 영미권 국가가 과하게 유리했었다는 목소리[9]가 나와 이와 같은 조치가 시행되었다.

9. 같이 보기[편집]


[1] 세계지구과학교육학회(International Geoscience Education Organization, IGEO) 산하.[2] 보통 고등학교 1~3학년. 대학생은 참가할 수 없으며, 이전 IESO 참가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생은 참관인 자격으로만 참가 가능하다.[3] 대부분 국가의 공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는 지구과학이 없으며, 있어봤자 환경과학이나 지리학 과목의 일부로 치부되어 한국 중학교 수준 내용만 다룬다. 대표적인 예가 미국Advanced Placement 과목 중 하나인 AP 환경과학, AP 인문지리학 과정.[4] 온라인으로 진행한 14~16회 IESO는 8명을 선발했다.[대만] A B C 대만과 공동 1위.[5] 당초 일본이 개최국이었으나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국가 재난사태로 부득이하게 아르헨티나에서 개최하게 되었다.[일본] 일본과 공동 1위.[6] 코로나19로 인해 14회 IESO는 취소됐다는 점을 반영하여 2021년에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7] 국가별 메달 개수 최대 4개로 제한[8] 우리나라 대표단 모두 메달권 안에 들었으나 이러한 제한으로 4명만 메달을 받게 되었다.[9] 웹페이지에서 데이터 자료를 찾아 분석하는 시험 특성상 영어를 잘하면 유리할 수밖에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22:53:53에 나무위키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